Japan charges 50,000 won, the US charges ESTA! Why more countries are imposing ‘entry fees’ on tourists

Japan charges 50,000 won, the US charges ESTA! Why more countries are imposing ‘entry fees’ on tourists




Summary

The imposition of foreign entry fees, such as Japan's JESTA and the US's ESTA, aims to achieve two core objectives: securing national finances and enhancing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This is part of a global trend to offset the social costs (overtourism) arising from increased tourist numbers and to shift the cost of maintaining visa-free entry systems onto visitors.


Why it matters! (Significance and context)

Major developed nations are increasing entry-related fees. Japan recently announced it will introduce a JESTA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System) fee of approximately 50,000 won for visa-exempt foreigners starting in 2028, while the U.S. is raising ESTA (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and other visa fees. This goes beyond simply collecting more money; it connects to critical issues of national security and fiscal soundness. Crucially, the primary purpose is practical funding acquisition: shifting the financial burden to foreign entrants to cover rising welfare and administrative expenditures without raising taxes on citizens. Thus, entry fee policies represent a choice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s at the balance point between economic benefits like attracting tourists and the social costs and security the state must manage.


Key Takeaways

  1. ‘Securing Funding’ by Covering Increasing National Expenditures Through Foreigners
    • Difficulty of Increasing Taxes on Citizens: Raising taxes (tax hikes) on citizens (domestic residents) during periods of inflation carries significant political burden.
    • Shifting the burden to foreigners: Seeking new funding sources for increasing government spending by imposing entry fees or departure taxes on foreign visitors who lack voting rights.
    • Purpose of Japan's JESTA: Plans to secure approximately 2.8 trillion yen in additional funding to cover the growing financial demands of welfare policies, such as expanding tuition-free high school enrollment.
  2.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through pre-screening
    • Introduction of electronic screening systems: Both Japan's JESTA and the US's ESTA are systems that collect information online in advance from foreigners entering without a visa and conduct pre-screening.
    • Preventing problematic individuals: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by screening out and denying entry to persons of concern, such as those with illegal residency or criminal histories, thereby controlling illegal immigration and residency.
    • Immigration System Maintenance Costs: The U.S. aims to shift the substantial costs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its immigration system onto foreigners through visa fees and similar charges.
  3. Directly Charging Tourists for ‘Overtourism’ Mitigation and Management Costs
    • Social Cost Generation: Increased tourism raises social costs (external diseconomie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traffic congestion, safety, and administrative services, leading to overtourismissues.
    • Direct Coverage of Management Costs: The purpose of an entry fee is to have visitors directly pay the increased management costs resulting from tourist growth, preventing the burden from shifting to citizens (residents).
    • Global Trend: Imposing entry fees and related costs, such as tourist taxes levied on accommodation, is an international trend already seen in tourism-advanced countries like Europe.


In summary

The core reasons for the spread of entry fee systems like Japan's JESTA and America's ESTA are securing finances and safety management. Countries are imposing costs on foreign entrants to secure funding for welfare and administrative expenditures without increasing the tax burden on their own citizens. Furthermore, this system is a crucial means of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and controlling illegal stays by screening out potentially problematic individuals beforehand through identity checks before entry.

While some express concerns that such fees could reduce tourist numbers, governments generally judge that these entry fees are relatively minor compared to airfare costs and thus unlikely to deter travel. Instead, they view it as part of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policies, shifting social costs like environmental and transportation burdens caused by overtourism directly to tourists,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residents. Ultimately, these policies are pursued because the necessity for safety management and securing finances outweighs concerns about tourist decline.


Keywords

#entryfee #JESTA #ESTA #securingfinances #nationalsecurity #touristdecline #overtourism #foreignersburden #safetymonitoring #preclearance



일본은 5만원, 미국은 ESTA! 관광객에게 '입국비'를 받는 나라들이 늘어나는 이유


한줄요약

일본의 JESTA와 미국의 ESTA 등 외국인 입국 수수료 부과는 국가 재정 확보안보 및 안전 관리 강화라는 두 가지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며, 이는 관광객 증가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오버투어리즘)을 충당하고 무비자 입국 시스템을 유지하는 비용을 방문자에게 전가하려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왜 중요한가! (의미와 맥락)

최근 일본이 2028년부터 무비자 외국인에게 약 5만원 수준JESTA(전자도항인증제도) 수수료를 도입하고, 미국이 ESTA(전자여행허가제) 및 기타 비자 수수료를 인상하는 등 주요 선진국들이 입국 관련 비용을 늘리고 있다. 이는 단순히 돈을 더 받으려는 차원을 넘어, 국가 안보재정 건전성이라는 중대한 이슈와 연결된다. 특히, 외국인 입국자에게 재정 부담을 전가함으로써 자국민의 세금 인상 없이 늘어나는 복지 및 행정 지출을 충당하려는 현실적인 재원 확보 목적이 매우 크다. 이처럼 입국 수수료 정책은 관광객 유치라는 경제적 이익과 국가가 관리해야 할 사회적 비용 및 안보의 균형점에서 국가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선택이다.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늘어나는 국가 지출을 외국인에게서 충당하는 '재원 확보'

    • 국민 증세의 어려움: 물가 상승기에 자국민(내국인)의 세금(증세)을 올리는 것은 정치적으로 큰 부담이 됨.

    • 외국인에게 부담 전가: 투표권이 없는 외국인 입국자를 대상으로 입국 수수료나 출국세 등을 부과하여 늘어나는 정부 지출을 위한 새로운 재원 확보를 꾀함.

    • 일본 JESTA의 목적: 고등학교 등록금 무상화 확대 등 늘어나는 복지 정책 재정 수요 충당을 위해 약 2조 8천억 원의 추가 재원을 확보할 계획임.

  2. 사전 심사를 통한 국가 '안보 및 안전 관리' 강화

    • 전자 심사 제도 도입: 일본의 JESTA와 미국의 ESTA는 모두 비자 없이 입국하는 외국인의 정보를 미리 온라인으로 받아 사전 심사를 진행하는 제도임.

    • 문제 인력 사전 차단: 불법 체류나 범죄 경력 등의 우려가 있는 사람을 미리 걸러내어 입국을 거부함으로써 국가 보안과 치안을 강화하고 불법 이민 및 체류를 통제함.

    • 이민 시스템 유지 비용: 미국은 이민 시스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을 비자 수수료 등을 통해 외국인에게 부담시키려 함.

  3. '오버투어리즘' 해소와 관리 비용을 관광객에게 직접 부과

    • 사회적 비용 발생: 관광객 증가는 환경 오염, 교통 혼잡, 안전 및 행정 서비스 등에 드는 사회적 비용(외부 불경제)을 증가시키며, 이는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 문제로 이어짐.

    • 관리 비용 직접 충당: 입국 수수료는 관광객 증가로 늘어난 관리 비용을 방문객에게 직접 내게 하여 자국민(주민)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것을 막으려는 목적이 있음.

    • 세계적 추세: 유럽 등 관광 선진국에서 이미 숙박 시 부과하는 관광세 등 입국 수수료 및 관련 비용 부과는 국제적인 추세임.


정리하면

일본의 JESTA와 미국의 ESTA와 같은 입국 수수료 제도가 확산되는 핵심적인 이유는 재정 확보안전 관리이다. 국가들은 자국민의 세금 부담을 늘리지 않고 복지 및 행정 지출에 필요한 재원 확보를 위해 외국인 입국자에게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 또한, 이 제도는 입국 전에 신원 조회를 통해 잠재적인 문제 인력을 미리 걸러내어 국가 안보불법 체류 통제를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수수료가 관광객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각국 정부는 이 입국 수수료가 비행기 값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여 여행을 포기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오히려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교통 등의 사회적 비용을 관광객에게 직접 부담시켜 주민들의 부담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관광 관리 정책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결국, 안전 관리재정 확보의 필요성이 관광객 감소라는 우려보다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정책이 추진되는 것이다.


키워드

#입국수수료 #JESTA #ESTA #재정확보 #국가안보 #관광객감소 #오버투어리즘 #외국인부담 #안전관리 #사전심사


🚨주의: 이 블로그 자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블로그에서 다루는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블로그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