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AI era, speaking ability emerges as the core criterion for personal competency assessment, surpassing writing skills!
In the AI era, speaking ability emerges as the core criterion for personal competency assessment, surpassing writing skills!
📌 Summary
As AI replaces most writing capabilities, the approaching “age of orality” is expected to see speaking skills – such as how well one conveys a story – become a key criterion for personal evaluation.
Professor Jeong Jae-seung of KAIST's Department of Brain and Cognitive Sciences made this observation during a Myeongdong Humanities Lecture held at the National Theatre Company of Korea's Myeongdong Arts Theatre in Jung-gu, Seoul, on the 14th. In his lecture titled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examining Storytelling and Theatre”, he discussed the future of theatre and the impact of artistic works on the human brain, illustrating his points with fascinating experimental examples.
Professor Jeong emphasised that in the AI era, the ability to speak is paramount. This is because AI can already write most texts faster and with greater completeness. He predicted, ‘In future, how well one tells a story will become a key criterion for assessing an individual's capabilities, rather than writing skills,’ adding, ‘Interviews too may shift towards evaluating speaking attitude and proactiveness within a three- to four-hour conversation.’ Indeed, he plans to assess KAIST students using a question-and-answer programme he developed himself, replacing traditional answer sheets starting from this semester's mid-term examinations.
⚡️ Key 3 Points
1️⃣ Due to AI's high writing proficiency and speed, speaking and storytelling abilities are emerging as the new benchmark for assessing individual capability, rather than writing.
2️⃣ AI will lead the creation of universally moving stories, while humans' role will shift to judging and refining AI works.
3️⃣ Immersion in artistic works like novels and plays plays a crucial role in promoting whole-brain development and enhancing empathy towards others.
🏷️ Keywords
#ProfessorJeongJaesung #KAIST #AIEra #AgeOfOrality #SpeakingAbility #Storytelling #AICreativity #Empathy #Neuroscience
AI 시대, 글보다 말하기 능력이 개인 역량 평가의 핵심으로 부상!
📌 한줄요약
AI가 웬만한 글쓰기 역량을 대체함에 따라, 다가오는 '구술의 시대'에는 이야기를 얼마나 잘 전달하는지 등 말하기 능력이 개인의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전망이다.
정재승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지난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명동인문학 강의에서 AI가 스토리텔링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AI) 시대, 이야기 그리고 연극을 다시 성찰하다'를 주제로 한 이번 강연에서 연극의 미래와 예술 작품이 인간의 뇌에 미치는 영향 등을 흥미로운 실험 사례를 곁들여 설명했다.
정 교수는 AI 시대에는 말하기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웬만한 글은 이미 AI가 더 빠르고 완성도 있게 써내기 때문이다. 그는 "앞으로는 글쓰기보다 이야기를 얼마나 잘하느냐가 개인의 역량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며 "면접 또한 3~4시간 동안의 대화 속에서 말하는 태도와 적극성 등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그는 이번 2학기 중간고사부터 답안지 대신 직접 개발한 질의응답 프로그램을 통해 KAIST 학생들을 평가할 계획이다.
⚡️ 핵심 3포인트
1️⃣ AI의 높은 글쓰기 완성도 및 속도로 인해, 글보다 말하기 및 스토리텔링 능력이 개인의 역량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부각됨.
2️⃣ AI가 보편적인 감동을 주는 이야기 창작을 주도하게 되며, 인간은 AI 작품을 판단하고 보완하는 주체로 역할이 변화함.
3️⃣ 소설, 연극 등 예술 작품 몰입은 뇌 전체 발달 촉진 및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함.
🏷️ 키워드
#정재승교수 #KAIST #AI시대 #구술의시대 #말하기능력 #스토리텔링 #AI창작물 #공감능력 #뇌과학
🚨주의: 이 블로그 자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블로그에서 다루는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블로그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