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e in “Paper Millionaires” Suffering Cash Shortages: In-Depth Analysis of Wealth Status Among South Korean and American Affluent Individuals

Surge in “Paper Millionaires” Suffering Cash Shortages: In-Depth Analysis of Wealth Status Among South Korean and American Affluent Individuals




📌 Summary

The phenomenon of “paper millionaires” is rapidly increasing in bo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espite being millionaires based on net worth, their wealth is tied up in illiquid assets such as housing and pensions, while inflation and interest rates place significant burdens on them, leaving them with insufficient liquid assets for actual use.


📖 Why it matters! (Significance and context)

The core point is that the status of being a millionaire, once a classic symbol of wealth, no longer automatically signifies affluence. This phenomenon stems from the interplay of rising prices, high interest rates, and increased illiquidity of assets, suggesting that net asset size alone can no longer accurately represent an individual's actual sense of wealth or spending power. It particularly reflects socio-economic shifts where the asset threshold required for younger generations to attain their parents' living standards has risen, heightening the psychological barrier to asset accumulation.


🔥 Key takeaways

1️⃣ Background to the deepening “paper millionaire” phenomenon

  • Lack of liquid assets: While net assets meet the millionaire threshold, the majority are tied up in assets like housing or pensions that are difficult to liquidate, resulting in insufficient readily available liquidity.
  • Inflation and high interest rate burdens: Inflation causes relative declines in asset values, while rising loan interest rates, such as mortgage rates, increase debt repayment burdens and exacerbate difficulties in converting assets to cash.
  • Declining Sense of Wealth: High interest rates act as a factor diminishing individuals' perceived sense of wealth, irrespective of asset value.

2️⃣ Asset Composition and Illiquidity Among Wealthy Individuals in Korea and the US

  • US Millionaires: 66% of assets in households with net worth between $1 million and $2 million are tied up in housing and retirement pensions (401(k), IRA), exhibiting high illiquidity (an 8 percentage point increase compared to 2017).
    • For those with assets around $1 million, the proportion of liquid assets is a mere 17%.
  • Wealthy Koreans: Among the assets of the wealthy with financial assets exceeding 1 billion won, real estate accounts for 55.4%, showing a greater tilt towards property than in the US.
    • Residential property accounts for the largest share at 32%, while liquid financial assets make up only 11.6%.

3️⃣ Rising Wealth Thresholds and Intergenerational Perception Gaps

  • Increased Required Asset Size: The asset threshold needed for a comfortable lifestyle has risen significantly due to factors like inflation.
    • Example of a “comfortable home” in New York: $1.4 million in 2017 → $2.1 million required in 2023.
  • Generational Wealth Thresholds: While the parent generation most frequently cited assets exceeding ₩1 billion as the wealth threshold, those in their 20s and 30s most often cited ₩2 billion, demonstrating a rise in the wealth benchmark for younger generations.
  • Psychological gap: What once felt comfortable with $1 million now requires around $10 million, indirectly fuelling frustration among younger generations.


🔍 In summary

In both Korea and the US, wealth is increasingly concentrated in illiquid assets like housing, pensions, and real estate, creating a surge in “paper millionaires” who lack actual cash liquidity. This phenomenon, coupled with an environment of high inflation and high interest rates, diminishes the perceived sense of wealth individuals experience, despite their net worth reaching millionaire levels. Particularly in Korea, the wealthy exhibit a pronounced asset concentration in real estate, reflecting a social context where the threshold for being considered wealthy has been significantly raised across generations, thereby heightening the economic barriers felt by the younger generation. Liquidity and real purchasing power are increasingly becoming the new benchmarks for measuring modern wealth, surpassing the mere size of one's assets.


#papermillionaire #cashshortage #illiquidassets #millionaire #wealththreshold #assetallocation #highinterestrates #inflation #realestateconcentration #networth #liquidity






현금 부족에 시달리는 '종이 백만장자' 급증: 韓·美 부자들의 자산 현황 심층 분석


📌 한줄요약

주택과 연금 등 비유동 자산에 부가 묶여 있고 물가 및 금리 부담이 커지면서, 순자산 기준 백만장자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성 자산이 부족한 '종이 백만장자' 현상이 한국과 미국에서 급증하고 있다.


📖 왜 중요한가! (의미와 맥락)

고전적인 부자의 상징이었던 백만장자라는 지위가 더 이상 자동적으로 풍요로움을 의미하지 않게 되었다는 점이 핵심이다. 이는 물가 상승과 고금리, 그리고 자산의 비유동성 증가가 맞물려 발생한 현상으로, 순자산 규모만으로는 개인의 실질적인 부유감과 소비 능력을 정확히 대변하기 어렵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젊은 세대가 부모 세대의 생활 수준을 누리기 위해 필요한 자산 기준 자체가 상향되어, 자산 증식의 심리적 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한다.


🔥 핵심 포인트 (Key takeaways)

1️⃣ '종이 백만장자' 현상의 심화 배경

  • 현금성 자산 부족: 순자산은 백만장자 기준에 해당하지만, 자산 대부분이 주택이나 연금 등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에 묶여 있어 실제 사용 가능한 유동성이 부족함.

  • 물가 상승과 고금리 부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자산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대출 이자율이 높아져 부채 상환 부담 및 자산 현금화의 어려움 가중.

  • 부유감 하락: 높은 이자율은 자산 가치와 무관하게 개인이 느끼는 부유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함.

2️⃣ 한·미 부자들의 자산 구성 및 비유동성

  • 미국 백만장자: 순자산 $100만~$200만 가구의 자산 중 66%가 주택 및 은퇴 후 연금(401(k), IRA)에 묶여 비유동성이 높음 (2017년 대비 8%p 증가).

    • $100만 언저리 자산가의 현금화 가능 자산 비중은 17%에 불과함.

  • 한국 부자: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부자의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55.4%로 미국보다 부동산에 더 기울어져 있음.

    • 거주용 주택이 3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유동성 금융자산 비중은 11.6%에 그침.

3️⃣ 부자의 기준 상향 및 세대 간 인식 차이

  • 필요 자산 규모의 증가: 과거 여유로운 생활을 위해 필요했던 자산 기준이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크게 높아짐.

    • 뉴욕의 '잘 사는 집' 예시: 2017년 $140만 2023년 $210만 필요.

  • 세대별 부자 기준: 부모 세대는 자산 10억 원 이상을 부자의 기준으로 가장 많이 꼽은 반면, 20·30대는 20억 원 이상이 가장 많아 젊은 세대의 부의 기준선이 상승했음을 보여줌.

  • 심리적 격차: 과거 $100만으로 충분했던 여유로움이 오늘날에는 $1000만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느껴, 젊은 세대의 좌절감 간접적 유발.


🔍 정리하면

한국과 미국에서 주택, 연금, 부동산 등 비유동성 자산에 대부분의 부가 집중되어 실제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종이 백만장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물가고금리 환경과 맞물려 순자산이 백만장자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느끼는 실질적인 부유감을 저하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 부자는 부동산에 대한 자산 편중이 심하며, 부자의 기준선이 세대와 함께 크게 상향 조정되어 젊은 세대가 느끼는 경제적 장벽이 높아지는 사회적 맥락을 반영한다. 자산 규모 자체보다는 유동성실질 구매력이 현대의 부를 측정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종이백만장자 #현금부족 #비유동자산 #백만장자 #부자의기준 #자산구성 #고금리 #물가상승 #부동산편중 #순자산 #유동성


🚨주의: 이 블로그 자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블로그에서 다루는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특정 금융 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본인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블로그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